(국내 학회에서의 발표들은 그 수가 너무 많은 관계로 중요한 발표들만 기술하였슴.) |
2004.8.21-22 |
한국정신치료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‘도정신치료와 서양정신치료 국제포럼’ (한국, 서울)
(1) 좌장
(2) “서양정신치료와 비교한 도정신치료의 정수”
(3) “정신분열증 환자의 자문 면담 및 21년 후 추수면담” 사례 소개 (김종하) 및 녹음 발표
(4) “6회 면담으로 치유된 4년 병력의 과민성 대장 증후군” 사례 소개 (최태진) 및 녹음 발표
(5) “일회의 자문면담을 통하여 환자의 일거수일투족에 배어 있는 핵심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강박증 사례” 사례 소개 (임효덕)
(6) “부모에게 행패를 부리는 환자의 가족역동이 일회 가족면담 현장에서 서로 납득된 사례”
사례 소개 (오동원)
(7) “이동식 선생과 도정신치료에 관한 대화 : 동양의 도와 서양 정신분석의 만남” 전체토론 |
2004.8.21 |
Allan Tasman, M.D. 특별강연 (약물치료효과의 증진을 위한 치료동맹 및 정신치료적 기법의 활용) 에 대한 토론 : 도정신치료와 서양정신치료 국제포럼 中 합동학술대회 (대한정신약물학회 및 한국정신치료학회) (한국, 서울) |
2004.5.29 |
한국정신치료학회 제6차 전공의를 위한 정신치료 워크숍 ‘첫 면담과 핵심감정’ (한국, 서울)
(1) “20년 불면증 환자 치료 사례” 녹음 발표
(2) “강박장애 환자 치료 사례” 녹음 발표 |
2004.3.27 |
“수도와 도정신치료” : 한국정신치료학회 2004년 제1차 학술연찬회 ‘수도와 정신건강’ (한국, 서울) |
2003.11.29 |
“개인 및 가족 병합 치료 사례” 녹음 발표 : 한국정신치료학회 2003년 제2차 학술연찬회
‘가족치료의 이론과 실제’ (한국, 서울) |
2003.4.19 |
“수도와 도정신치료” (이정국에 의해 구술 내용을 필기 정리하여 발표)
: 한국정신치료학회 2003년 제1차 학술연찬회 ‘수도와 정신치료’ (한국, 서울) |
2003.2.22 |
“자문면담을 통한 역전이 지도사례” 녹음 발표
: 한국정신치료학회 제5회 전공의를 위한 정신치료 워크숍 ‘역전이의 이론과 실제’ (한국, 서울) |
2002.11.23 |
“이혼 문제(남편) 치료 사례” 녹음 발표
: 한국정신치료학회 2002년 제2차 학술연찬회 ‘정신치료와 꿈’ (한국, 서울) |
2002.10.25 |
“정신분열증 환자 자문 사례” 녹음 발표 : 한국정신치료학회 학술연찬회 ‘道 精神治療’ (한국, 서울) |
2002.4.13 |
“과민성대장증상 환자 사례” 녹음 발표 : 한국정신치료학회 2002년 제1차 학술연찬회
‘정신과 신체’ (한국, 서울) |
2002.2.23 |
‘해석의 현장 - 치료사례 녹음 발표’
: 한국정신치료학회 제4회 전공의를 위한 정신치료 워크숍 ‘해석’ (한국, 서울) |
2001.11.24 |
‘이동식선생의 지도 사례 녹음 발표’ : 한국정신치료학회 2001년 제2차 학술연찬회
‘집단 따돌림 - 심층적 이해와 정신치료 실제’ (한국, 서울) |
2001.7.7 |
‘저항을 다룬 임상 사례 녹음 발표’ : 한국정신치료학회 제3회 전공의를 위한 정신치료 워크숍
‘정신치료에서 겪는 저항’ (한국, 서울) |
2001.4.21 |
한국정신치료학회 2001년 제1차 학술연찬회 ‘핵심감정의 진단과 그 의의’ (한국, 서울)
(1) “불면증 사례” 녹음 발표
(2) “정신분열병 사례” 녹음 발표
(3) “강박신경증 사례” 녹음 발표 |
2000.3.4 |
‘전이의 현장 - 치료사례 녹음 발표’ : 한국정신치료학회 제2회 전공의를 위한 정신치료 워크숍
‘정신치료의 첫 관문 - 전이의 이해와 대처’ (한국, 서울) |
1999.10.29 |
“공감의 동양적 이해” :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년 추계학술대회 Institute XI
‘공감의 이론과 실제: 정신치료의 핵심요소’ (한국, 서울) |
1999.3.28 |
한국정신치료학회 제1회 전공의를 위한 정신치료 워크숍 (한국, 서울)
(1)'동일 환자에 대한 초심자와 Supervisor의 치료사례' 中 치료사례 녹음 발표
(2) 첫면담 녹화 비디오 발표 |
1998.9.27
|
“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 단기치료의 경과 제2회” 녹음 발표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8년 제2차 학술연찬회 ‘개원의의 정신치료’ (한국, 서울) |
1998.4.11
|
6회로 종결한 "과민성대장증후군" 환자사례 녹음 발표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8년 제1차 학술연찬회 ‘단기 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’ (한국, 서울) |
1997.11.30 |
Psychotherapy Workshop ; Dr. RHEE Dongshick's Cases (한국, 서울),
캐나다 토론토대학의 Gary Rodin, M.D.와 Graeme Taylor M.D.가 참여함.
(1) 좌장
(2) 두 사례 (“과민성 대장염 환자 사례”와 “정신분열증 환자 사례”) 발표 및 토론 |
1997.10.30 |
"참 삶을 위하여"
: 가톨릭 상담심리대학원 강연 (한국, 서울) |
1997.10.24 |
"동서정신치료의 통합 : 도와 정신치료"
: 한국심리학회 추계 심포지움 中 강연 (한국, 서울) |
1995.11.11 |
‘현대사회와 도덕성에 관한 패널토론 (최근의 패륜행위사례를 중심으로)’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5년 제4차 학술연찬회 (한국, 서울) |
1995.10.17 |
“선과 정신분석” : 조계사불교대학 특강 (한국) |
1994.8.21-25 |
제16차 국제정신치료학회(16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therapy)
‘Psychotherapy; East and West’ (한국, 서울)
(1) 대회장 겸 조직위원장
(2) "The Tao and Western Psychotherapy" : Plenary Lecture
(3) "What is The Tao?" : 한국교육방송(EBS) 프로그램 ‘생각하는 삶’에 출연,
‘도란 무엇인가’ 주제로 사회자와 대담한 내용을 영어로 더빙
(4) ‘이동식 선생의 정신분열증 입원환자와의 자문면담과 그 토론’ : Case Conference
(강석헌 등에 의해 면담녹음 발표 및 토론) |
1994.5.7 |
“한국인의 주체성과 한국문화” 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4년 제1차 학술연찬회
‘국제화 시대의 주체성과 정신건강’ (한국, 서울) |
1994.2.19-20 |
한국정신치료학회 1993년 제3차 학술연찬회 (한국, 대전)
(1) “도와 공감”
(2) ‘치료사례 녹음 발표’ |
1993.4.30 |
“정서적 위기 및 급성적인 대인공포증이 일어난 사례” : 93년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
연구학회별 주제발표 ‘Crisis Intervention의 이론과 실제’ (한국, 경주) |
1993.4.24-25 |
‘치료사례 녹음 발표’ 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3년 제1차 학술연찬회 ‘부부문제와 각자의 핵심문제’
(한국, 서울) |
1993.1.14 |
"정신치료자가 본 한국인의 자화상과 주체성 확립의 과제"
: 인간개발연구원 주최 경영자 대상의 강연회 (한국, 서울) |
1992.7.10 |
한국정신치료학회 1992년 제2차 학술연찬회 (한국, 서울)
(1) “정신분열증 환자의 자문면담사례” 녹음 발표
(2) “도와 정신치료” |
1991.6.7 |
“정신신체장애의 정신치료 사례” 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1년 제2차 학술연찬회 (한국, 서울) |
1990.9.22-23 |
경북의대 신경정신의학교실 정신치료 워크숍 (협찬: 한국정신치료학회, 고신의대 신경정신의학교실) (한국, 부산)
(1) “신체화 증상과 행동화 장애 환자와의 첫면담 사례” 녹음 발표
(2) “강박신경증 단기정신치료 사례의 초기, 중기, 말기의 면담” 녹음 발표 |
1990.9.8 |
“식사장애의 정신치료 사례” : 한국정신치료학회와 대한정신약물학회 합동학술대회
(한국정신치료학회 1990년 제4차 학술세미나) (한국, 서울) |
1990.8.4 |
"동서정신치료의 통합 (The Integration of East and West Psychotherapy)"
: 소암 이동식 선생 고희기념 정신치료 학술대회(1st Joint Academic Meeting of the KAP and the
American Academy of Psychoanalysis in Commemoration of Professor RHEE's Kohi)
중 기념강연 (한국, 서울) |
1990.2.2 |
"Tao and Taoistic Intervention in Psychotherapy"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0년 제1차 학술세미나 (한국, 서울) |
1989.11.18-19 |
‘치료사례 녹음 발표’ : 1989년 제4차 학술세미나 ‘핵심감정의 진단’ (한국, 공주치료감호소) |
1989.9.9 |
“강박신경증 환자의 정신치료 사례” 녹음 발표
: 한국정신치료학회와 대한정신약물학회 합동학술대회
(한국정신치료학회 1989년 제3차 학술세미나) (한국, 서울) |
1989.8.26-27 |
“강박증환자의 20회 단기치료 사례” 녹음 발표
: 경북의대 신경정신의학교실 정신치료 워크숍 (한국정신치료학회 협찬) (한국, 대구) |
1989.4.8-9 |
‘정신치료 supervisor들의 이동식선생에 대한 질문’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9년 제1차 학술세미나 (한국, 서울) |
1988 |
"정신분열증의 정신치료 사례" : 한국정신치료학회와 대한정신약물학회 합동학술대회 (한국, 서울) |
1988.10.20 |
“시대사상적 배경과 치료 양태” : 서울대학교 법인화 1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움 (한국, 서울) |
1988.8.27-28 |
한국정신치료학회와 경북의대 신경정신의학교실 공동주최 정신치료 워크숍
‘첫면담과 핵심감정의 진단’ (한국, 대구)
(1) “자살기도 사례” 녹음 발표 및 해설
(2) “정신신체증상 사례” 녹음 발표 및 해설
(3) “강박신경증 사례” 녹음 발표 및 해설
(4) “정신분열증 사례” 녹음 발표 및 해설 |
1988.2.12 |
‘치료사례 녹음 발표 및 해설’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8년 제1차 학술세미나 ‘정신치료에 있어서 핵심감정의 진단’ (한국, 서울) |
1987.8 |
“국민의식과 행동방식 - 한국과 일본” : 대한상공회의소 심포지움 (한국) |
1986.7.5 |
“도의 현대적 의의” 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6년 제2차 학술세미나 ‘도의 현대적 의의’ (한국, 서울) |
1985.7.13-14
|
"대도무문(大道無門)" : 고 대원 장경호거사 10주기 기념 심포지움 ‘믿음과 실천-오늘의 좌표’
(한국, 유성)
|
1984.5.14-19 |
제3회 태평양정신의학회(3rd Pacific Congress of Psychiatry) (한국, 서울)
(1) 대회장(Congress President)
(2) "Psychotherapeutic Experience of Schizophrenia in Korea"
(3) "The Tao and Western Psychotherapy" |
1984.3.24 |
“수도와 정신치료” (The Tao and Psychotherapy)
: 한국정신치료학회 창립10주년 기념 강연회 ‘수도자와 정신치료자의 대화’ (한국, 서울) |
1982.8.29 |
“정신분열증의 정신치료” 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2년 제3차 정신치료 세미나 (한국, 서울) |
1980.12.5 |
"Somatoform disorder의 정신치료"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0년 제4차 정신치료 세미나 (한국, 서울) |
1980.8.30-31 |
“경계선환자의 정신치료” 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0년 제3차 정신치료 세미나 (한국, 서울) |
1979.5.19 |
“한국에서의 정신치료”
: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 ‘한국 정신의학의 어제와 오늘’ 中 plenary session (한국) |
1979.3.31-4.1 |
“우울증의 정신치료” : 한국정신치료연구회 정신치료 세미나 (한국, 서울) |
1977.1.22 |
"정신치료와 문화" (Experience in Cross-Cultural Psychotherapy)
: 한국정신치료연구회 정신치료 세미나 (한국, 서울) |
1976 |
“도와 과학” : 과학기술처와 한국과학사학회 공동주최, 과학의 날 기념 심포지움
‘전통과 과학’ (한국, 서울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215-221 |
1976.8.21-22 |
"Intake Interview" : 한국정신치료연구회 정신치료 세미나 (한국, 서울) |
1970.10 |
“도의 현대적 의의” : 한국철학회 심포지움 (한국, 서울) |
1959 |
“단기정신치료로서 치유한 심인성 두통일례” : 한국심리학회 (한국, 서울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