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정신치료학회
kap8432@nate.com 82-2-764-8432
십우도

이동식 선생님 발자취


< 국내발표논문 >
서양정신치료와 비교한 도정신치료의 정수 : 한국정신치료학회 창립 30주년 기념
‘도정신치료와 서양정신치료 국제포럼’ (2004.8.21)
수도와 도정신치료 : 한국정신치료학회 2004년 제1차 학술연찬회 ‘수도와 정신건강’ (2004.3.27)
수도와 도정신치료 (이정국에 의해 구술 내용을 필기 정리하여 발표)
: 한국정신치료학회 2003년 제1차 학술연찬회 ‘수도와 정신치료’ (2003.4.19)
공감의 동양적 이해 :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년 추계학술대회 Institute XI
‘공감의 이론과 실제 : 정신치료의 핵심요소’ (1999.10.29)
한국인의 주체성과 한국 문화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4년 제1차 학술연찬회 ‘국제화 시대의 주체성과 정신건강’ (1994.5.7) /
정신치료, 8, 1 : 43-53 (1994.12)
도와 공감 (The Tao and Empathy : East Asian Interpretation)
: 정신치료, 7, 1 : 7-19 (1993.12) / 한국정신치료학회 1993년 제3차 학술연찬회 (1994.2.19-20)
정서적 위기 및 급성적인 대인공포증이 일어난 사례
: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3년 춘계학술대회 연구학회별 주제발표 ‘Crisis Intervention의 이론과 실제’ (1993.4.30)
도와 정신치료 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2년 제2차 학술연찬회 (1992.7.10)
Dongshick Rhee - Medard Boss Dialogue : 정신치료, 6, 1 : 30-43 (1992)
정신신체 장애의 정신치료 사례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1년 제2차 학술연찬회 (1991.6.7) / 정신치료, 5, 2 : 75 (1991.12)
식사장애의 정신치료 사례 : 한국정신치료학회와 대한정신약물학회 합동학술대회
(한국정신치료학회 1990년 제4차 학술세미나) (1990.9.8) / 정신치료, 5, 1 : 41-43 (1991.3)
The Integration of East and West Psychotherapy :
(1) 한국정신치료학회 및 미국정신분석학회(American Academy of Psychoanalysis) 합동개최
소암 이동식 선생 고희기념 정신치료 학술대회(The First Joint Academic Meeting in
 Commemoration of rofessor Dongshick Rhee's Kohi) (1990.8.4 한국, 서울)
(2) 소암이동식선생고희기념논문집 : 369-374 (1991)
(3) Journal of Practical Psychology N3, 97-102 (러시아, 1996)
; Natalia Semyonava, Ph.D.에 의해 러시아어로 번역, 약력과 한국정신치료학회 소개와 함께 실림.
Consultation Interview : 정신치료, 4, 1 : 61-94 (1990)
Tao and Taoistic Intervention in Psychotherapy : 한국정신치료학회 1990년 제1차 학술세미나 (1990.2.2)
경계선 인격장애의 정신치료경험 : 신경정신의학, 28, 1 : 35-38 (1989)
정신치료 supervisor들의 이동식선생님에 대한 질문
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9년 제1차 학술세미나 (1989.4.8-9) / 정신치료, 4, 1 : 108-122 (1990)
강박신경증 환자의 첫면담 : 정신치료, 3, 3 : 63-82 (1989.12)
정신분열증의 정신치료사례 : 정신치료, 2, 2 : 65-68 (1988.12)
시대사상적 배경과 치료 양태 : 서울대학교 법인화 1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움 (1988.10.20)
정신치료에 있어서 핵심감정의 진단 : 정신치료, 2, 1 : 51-63 (1988.4)
국민의식과 행동방식 - 한국과 일본 : 대한상공회의소 심포지움 (1987.8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
1989 일지사 pp. 297-312
도의 현대적 의의 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6년 제2차 학술세미나 ‘도의 현대적 의의’ (1986.7.5)
민족주의와 세계주의 : 한길, 3, 1 (1985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322-325
대도무문(大道無問) : 고 대원 장경호거사 10주기 기념 심포지움 '믿음과 실천-오늘의 좌표'(1985.7.13-14) /
믿음과 실천-오늘의 좌표 1985, 1988 대원정사 pp. 197-208
한국문화와 한국인의 심성 : 한길, 2, 1 (1984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317-321
한국정신의학의 좌표 : 신경정신의학, 23, 4 : 325-328 (1984)
한국에서의 정신치료 - 정신치료의 역사 : 정신치료, 1, 1 : 67-78 (1984)
Assimilation of Western Psychotherapy in Asia : 정신치료, 1, 1 : 41-46 (1984)
수도와 정신치료 : 한국정신치료학회 창립10주년 기념 강연회 ‘수도자와 정신치료자의 대화’ (1984.3.24)
재미교포의 주체성 : 한길, 1, 1 (1983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313-316
수도와 정신치료 : 정신의학보, 6 : 16-19 (1982)
정신분열증의 정신치료 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2년 제3차 정신치료 세미나 (1982.8.29)
Somatoform disorder의 정신치료 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0년 제4차 정신치료 세미나 (1980.12.5)
경계선환자의 정신치료 : 한국정신치료학회 1980년 제3차 정신치료 세미나 (1980.8.30 - 31)
정신치료적 면담 : 대한의학협회지, 23, 1 : 2-6 (1980.1)
한국에서의 정신치료
: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 '한국 정신의학의 어제와 오늘' 中 plenary session (1979.5.19)
우울증의 정신치료 : 한국정신치료연구회 정신치료 세미나 (1979.3.31-4.1)
정신분열증의 사회정신치료법과 그의 평가 : 신경정신의학, 17, 3 : 260-262 (1978)
정신치료와 문화 (Experience in Cross-Cultural Psychotherapy)
: 한국정신치료연구회 정신치료 세미나 (1977.1.22)
Intake Interview : 한국정신치료연구회 정신치료 세미나 (1976.8.21-22)
도와 과학
: 과학기술처와 한국과학사학회 공동주최, 과학의 날 기념 심포지움 '전통과 과학' (1976) /
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215-221
한국에서의 정신치료 : 메디칼 트리뷴 (1972.3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199-204
도와 카운슬링 및 카운슬러 : 학생지도 (1971.12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157-165
한국의 정신환자치료 : 동아의보 (1971.11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110-114
정신신체질환의 치료 : 동아의보 (1971.10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214-225
한국인의 우울증 : 동아의보 (1971.9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118-122
도의 현대적 의의
: 한국철학회 심포지움 (1970.10) / 의사신문 (1973.3.26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1989 일지사 pp. 168-174
학생상담에서 가족 특히 부모의 문제 : 학생지도 (1970.12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123-129
한국인 정신치료에 관한 연구 : 최신의학, 13, 9 : 77-101 (1970.9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231-286
정신치료 : 韓國醫科學, 2, 12(12) (1970.12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130-136
카운슬링의 철학적 정초 : 학생연구, 7, 1 : 20-26 (1969.12)
약물습관성 중독의 심리, 약물습관성 중독 : 종합의학, 14, 4(4) (1969)
한국인의 정신건강과 교육의 과제
: 한국교육의 문제와 전망 (1968.12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45-55
한국의 전통문화 속에 있는 정신건강에 관한 지혜에 대한 소고 : 신경정신의학, 7, 3 : 37-40 (1968.10) /
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226-230
한국에 있어서의 정신치료 및 카운슬링의 철학적 정초 서설 : 윤태림 박사화갑기념 심리교육논총,
숙명여자대학 출판부 (1968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134-156
한국인의 주체성과 학생지도의 이념 : 학생연구, 5, 1 (1967.8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8-18
정신치료자의 인격 : 신경정신의학, 6, 1 : 19-24 (1967.3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207-213
정신치료에 대한 개념과 태도 - 한국에서 경험한 정신요법 : 신경정신의학, 5, 1 : 9-11 (1966)
대학생의 사회참여와 그 사적 고찰에 대한 토론 : 학생연구, 4, 1 : 43-90 (1966.7)
無知의 지 : 한국카운슬러 협회회보, 1, 2 (1965.10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166-167
정신신체질환의 치료 : 대한의학협회지, 8, 6 : 517 (1965)
Stess의 개념과 Stess 학설 : 의학다이제스트, 3, 1 : 18-20 (1961)
노이로제와 자살, 타살 : 대한의학협회지, 4, 5 : 53-55 (1961)
외과적 Sress : 의학다이제스트, 2 : 13-18 (1960.12)
독신생활과 정신건강 : 보건세계, 7 : 82-83 (1960.9)
정신과적으로 본 주정중독 : 한국의약, 3 : 27-30 (1960.5)
정신병, 정신과, 정신의 : 의약시보 (1960.3.18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153-158
간질의 치료 : 최신의학, 3 : 13-15 (1960.3)
정신보건의 현대적 개념과 우리나라의 당면과제
: 대한의학협회지, 3 : 31-32 (1960.1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190-192
세계정신 건강연합체(WFMH)와 한국의 정신건강운동
: 보건신문 (1960.1) /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1989 일지사 pp. 185-189
현대정신의학해설 - 정신의의 치료수첩 : 의사시보, 235-271 (1960)
현대적 의료와 정신의학 : 의사시보, (1959.12.28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138-143
정신의학의 현대적 조류 : 한국의약, 2, 12:75 (1959.12) / 노이로제의 이해와 치료 1974 일지사 pp. 144-152
정신신경과영역의 신용어 : 한국의약, 2, 9 (1959.9)
단기정신치료로서 치료한 심인성두통의 일례
: 한국심리학회 (1959) / 한국의약, 3,2 (17) : 100-101(1835-1836) (1960.2)
< 국외발표논문 >
Concept of Mental Health (이정국에 의해 대독) : 제3회 범아시아 태평양 정신건강회의
(3rd Pan-Asia Pacific Conference on Mental Health) 中 Plenary Session 2001 중국, 북경
Asian Foundations of Psychotherapy : The Tao and Psychotherapy
: 제2회 범아시아 태평양 정신건강회의 (2nd Pan-Asia Pacific Conference on Mental Health) 中 Plenary Lecture
1998.10.13 중국, 베이징
Introduction of Prof. RHEE's Psychotherapy Integrating Eastern Tao and Western Psychotherapy
(허찬희에 의해 발표)

: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for the Psychological Treatment of Schizophrenia and Other Psychoses
1997.10.12-16 영국, 런던
Integration of East and West Psychotherapy; Professor RHEE Dongshick's Case
(강석헌에 의해 발표) 
:
(1) 1st Scientific Meeting of the Asia-Pacific Assoc. of Psychotherapists 1996310.28-30 인도네시아, 발리
(2) 미국정신분석학회 제41차 연차대회(41st Annual Meeting of the Amer. Academy of
 Psychoanalysis) 中 ‘Presentation on Transcultural Psychoanlysis; Asian Contributions to
 Psychoanalysis’ 패널토의 1997.5.18 미국, 샌디에고
(3) Regional Meeting of the World Psychiatric Association 中
'Psychotherapy East and West' 심포지움1997.10.10 중국, 북경
(4) 제2회 범아시아 태평양 정신건강회의(2nd Pan-Asia Pacific Conference on Mental Health) 中
Plenary Session 1998.10.15 중국, 베이징
(5) 제18차 세계정신치료대회(18th World Congress of Psychotherapy) 中
 ‘The Integration of Tao and Psychotherapy’ 심포지움 2002.8.15 노르웨이, 토론헤임
The Tao and Psychotherapy : 환태평양정신치료학원(Pacific Rim College of Psychotherapy) 1992 중국, 상하이
The Tao and Empathy : East Asian Interpretation :
(1) 미국정신분석학회(American Academy of Psychoanalysis) 제36차 연차대회, 1992.5.2
(2) 정신치료, 7, 1 : 7-19 (1993.12)
The Experience of Trainig Psychotherapists in Korea : 제15차 국제정신치료학회
(15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therapy) 1991.9.16-20 (독일, 하노버)
The Tao and Taoistic Intervention : 미국정신분석학회(American Academy of Psychoanalysis)
제33차 동계 학술대회 1989.12.7 -12.10 미국, Captiva Island
The Integration of East and West Psychotherapy :
(1) 한국정신치료학회 및 미국정신분석학회(American Academy of Psychoanalysis) 합동 개최
 소암 이동식 선생 고희기념 정신치료 학술대회(The First Joint Academic Meeting in
 Commemoration of Professor Dongshick Rhee's Kohi) 1990.8.4 한국, 서울
(2) 소암이동식선생고희기념논문집 : 369-374 (1991)
(3) Journal of Practical Psychology N3, 97-102 (러시아, 1996)
; Natalia Semyonava, Ph.D.에 의해 러시아어로 번역, 약력과 한국정신치료학회 소개와 함께 실림.
The Tao and Western Psychotherapy :
(1) 제3차 태평양정신의학회(3rd Pacific Congress of Psychiatry, Seoul, Korea)
 1984.5.14-19 한국, 서울
(2) 제14차 국제정신치료학회(1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therapy)
 1988.10.9-10.14 스위스, 로잔
(3) 제4회 환태평양 정신의학자대회(4th Pacific Rim College of Psychiatrists Meeting)
 1988.12.4-12.8 홍콩
(4) 제16차 국제정신치료학회(16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therapy)
‘Psychotherapy; East and West’ 1994.8.21-25 中 Plenary Lecture 한국, 서울
Western Psychotherapy and Eastern Tao : 제13차 국제정신치료학회
(13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therapy) 1985.10.1-11.2 유고슬라비아, Opatija
Role of Psychotherapy in Traditional Culture : 제13차 국제정신치료학회
(13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therapy) 1985.10.1-11.2 유고슬라비아, Opatija
Psychotherapeutic Experience of Schizophrenia in Korea : 제3회 태평양 정신의학회
(3rd Pacific Congress of Psychiatry) 1984.5.14-19 한국, 서울
The Assimilation of Western Psychotherapy in Asia ; The Korean Case :
(1) 제2회 아시아 태평양 정신치료학회(2nd Asia Pacific Congress of Psychotherapy)
 1981.5 필리핀, 마닐라
(2) 정신치료, 1, 1 : 41-46 (1984)
The Tao, Psychoanalysis and Existential Thought :
(1) 제6차 세계정신의학회(6th World Congress of Psychiatry) 1977.9.30 하와이, 호놀룰루
(2) Psychothearpy and Psychosomatics 53 : 21-27 (1990)
Philosophical Ground-Laying for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in Korea
: Korea Journal : 32-37 (1974.12)